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커뮤니티를 보면 다음 검색 포털에 노출되는 것보다는 구글, 또는 네이버 검색 포털에 자신의 블로그 게시물이 게시되는 것을 더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네이버 노출의 단순히 네이버에 티스토리 게시글이 노출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티스토리 결과물이 웹사이트 영역에 노출되는지, view 탭에 티스토리 블로그 글이 게시되는지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어느 정도냐면, 구글에 [티스토리 네이버 view 탭 노출 방법]으로 검색해보면 이와 관련된 수많은 문서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으로 대체하겠습니다.
이런 글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이런 정보를 찾는 사람들이 많다는 반증이니까요.


개중에는 일반적인 방법과는 다르게, [낙장 블로그]라는 다른 사람이 사용하다가 버려진, 좀 더 순화해서 표현하자면 운영을 포기한 블로그 도메인 주소를 찾아내어서 그 주소로 운영을 하는 것도 네이버 view 탭 노출 방법 중 하나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다음의 몰락?

다음 카카오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다음 카카오에서 운영하는 검색 포털에는 큰 관심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약간 아이러니하기도 하지만..

아래 연간 검색포털 점유율 그래프를 본다면 저 역시도 제 블로그의 글이 다음에 노출되지 않더라도 네이버나 구글에는 노출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다음 사진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1년 단위로 총 11년간의 검색 포털 점유율을 원형 그래프로 표현한 사진입니다.

2010년에는 23.91%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었던 다음은 해가 갈수록 점점 점유율이 하락하더니, 2010년 당시 5.03%의 점유율을 보여주었던 구글에게 2018년부터 2위를 빼앗기더니 2020년에는 네이버 59%, 구글 32.7%, 다음 6.27%라는 점유율을 보여주게 됩니다.

한때는 네이버의 독점을 막아내고 있던 검색 포털이엇던 다음은 어느새 10%도 안되는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는 겁니다.
반면에 구글은 조금씩 점유율을 높여나가 네이버와 비등비등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자료 출처 소개

위 정보는 LOGGER에서 운영하는 인터트렌드에서 얻은 자료들입니다.

 

ROI를 높이는 마케팅 성과 측정 Logger™ : BizSpring

측정의 중요성은 비즈니스를 경영함에 있어 아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로거™는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측정하여 퍼포먼스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logger.co.kr

 

InternetTrend™

 

www.internettrend.co.kr

100명이라는 사람이 검색을 한다고 했을 때 10명도 안되는 사람들이 검색에 사용하는 다음과, 100명 중 30~60명이 검색에 사용하는 구글과 네이버 중 노출에 유리한 곳을 고르라고 한다면 누가 봐도 네이버나 구글의 손을 들어줄 겁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이런 검색 포털 생태계의 변화에 살아남기 위해 네이버는 view 탭이라는 새로운 검색 영역을 만들어내 타사 블로그를 배제해 자사 블로그 사용자 우대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다음에서는 그렇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다가 다음에서 소위 말하는 '저품질'을 당했다는 사람들도 다수 보입니다.

어떻게 보면 타 플랫폼과 자사 플랫폼 유저를 차별하지 않는 공정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자사 플랫폼에 힘을 실어줘도 모자랄 것 같은 상황에 네이버와는 다른 행보를 보이는 다음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검색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기존 카페 글, 블로그 글 영역을 VIEW 영역으로 통합시키고 꾸준히 검색 로직을 개선하고 있음을 알리고 있는 네이버와,
이런 네이버와는 비슷한 행동을 하나도 하지 않으면서 독자적인 블로그 플랫폼인 티스토리를 운영하는 이유가 정말.. 궁금하네요.

네이버의 자사 플랫폼 우대 정책에도 네이버 블로그가 아닌 티스토리 블로그를 이용하는 이유

그렇다면 여기서 한 가지 의문점이 생기게 됩니다. '검색 포털에 더 많이 노출이 되고 싶다면 왜 네이버 블로그가 아닌 티스토리를 이용할까?' 하고요.

답은 간단합니다. 바로 애드센스 이용 가능 여부이니까요.

블로그에 광고를 노출해주는 조건으로 이에 대한 대가를 받는 것으로 소소한 수익, 용돈을 벌 수 있게 되면서 블로그는 하나의 부업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이런 부업 겸 기록용으로 네이버 블로그가 아닌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기도 했구요.

네이버에서 애드센스와 비슷한 서비스인 네이버 애드포스트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애드센스보다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노출에 불리하더라도 네이버 블로그가 아닌 티스토리 블로그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의 자충수?

애드센스 덕분에 티스토리는 다수의 이용자들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아무래도 돈과 관련된 일이기 때문인지 애드센스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바로 스팸성 블로그로 때문입니다.

이런 스팸성 블로그는 계정을 여러개 생성한 다음 다수의 스팸성 게시글을 생성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행동을 막기 위해 티스토리는 제재를 가하고, 1인 1계정이라는 규정을 내세우고 있지만 수많은 사람들을 원하는 대로 통제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한 가지 대안으로 생각해낸 것이 티스토리 계정과 카카오 계정의 연동인 것 같은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표면적인 이유는 티스토리와 애드센스 연동시 나타나는 ads.tx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본인 인증을 해야 가입이 가능한 카카오 계정으로 모든 사용자들이 의무적으로 계정을 연동해야 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추가 안내] ads.txt 파일 문제 해결 및 2차 도메인 관련 안내

안녕하세요. 티스토리 팀입니다. 지난 '사전 안내'에서 말씀 드린 대로 "ads.txt 파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수익 메뉴에서 애드센스 계정을 연동해야 하고, 연동하지 않을 경우 광고가 미노출" 될

notice.tistory.com

 

카카오계정으로 티스토리를 이용해주세요

2021년 1월 18일, 모바일 사용 관련 내용이 추가되고, 그에 맞게 내용이 일부 수정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티스토리팀입니다. 카카오계정 기반의 서비스 이용이 10월 27일부터 시작됩니다. 달라지

notice.tistory.com

 

물론 아직은 전화번호 인증이 아니어도 카카오 계정이 생성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찝찝함은 없앨 수 없습니다.
티스토리 계정과 카카오 계정을 연동하는 것보다는 티스토리 이용자에게 ads.txt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이 더 맞지 않나 생각하고 있거든요.
굳이 티스토리 측에서 회원의 개인 정보를 가져다가 이용자가 아닌 플랫폼 측에서 애드센스 측과 협력해 연결해주겠다고 하는 의도를 모르겠습니다.

결론

의식의 흐름대로 글을 쓰다보니 이야기가 너무 샛길로 빠졌습니다..
아무튼 결론은, 티스토리의 이용자들의 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바로 애드센스를 통한 부수입 창출이라는 겁니다.

결국 애드센스를 통해 부수입을 얻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내 글을 보고, 내 블로그에 게시된 광고를 봐주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검색 포털에 내 블로그가 노출되는 것이 긍정적이면 긍정적이지, 부정적이지는 않습니다.

티스토리의 운영 주체인 다음 카카오가 검색 포털을 주도하는 포털 사이트였다면 정말 더할 것도 없이 좋았겠지만.. 안타깝게도 다음은 해가 갈수록 포털 사이트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네이버는 여전히 1위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고, 구글을 다음의 위치를 넘어 어느새 네이버의 위치를 위혐하고 있구요.

광고 노출로 수익을 내려면 많은 사람들이 내글을 봐줘야 하기 때문에 다음이 아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네이버와 구글 노출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네요.

 

관련 글

 

수치로 알아보는 국내 포털사이트 점유율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 워드프레스 등을 운영하는 블로거들이 왜 다음 포털 사이트는 등한시하고 네이버 포털 사이트에 집중하는지에 대해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알아봤었습니다. 포털 점

redfox.tistory.com

 

검색어 조회수로 알아보는 국내 포털사이트 순위

이전 글에서 국내 포털 사이트 점유율을 참고하여 각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 수를 알아보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는 실패했는데요. 이번에는 한 발 더

redfox.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